DAILY

🔍네이버·카카오 실검 사라진 뒤, 대중은 어디로 갔을까

AtildeZ 2025. 7. 28. 08:07
반응형

네이버·카카오 실검 관련 이미지

한때 대한민국에서 ‘실시간 검색어’는 대중의 관심을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였다. 출근길 지하철에서, 점심시간 회사에서, 뉴스보다도 빠르게 대중은 네이버·카카오의 실검(실시간 검색어)를 통해 지금 이 순간 화제가 되는 사건을 접했다. 하지만 2021년, 네이버와 카카오는 사회적 논란과 조작 우려 등을 이유로 실검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종료했다.

그리고 3년이 흘렀다. 실검은 사라졌지만, 사람들의 ‘지금 가장 뜨거운 화제’를 알고자 하는 욕구는 사라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무엇을 통해 트렌드를 파악하고 있을까? 실검 폐지 이후 대중은 어디로 향했을까?

실검 폐지, 왜 그렇게 큰 이슈였나?

실검은 단순한 키워드 목록이 아니었다. 그것은 뉴스보다 빠른 정보, 여론을 형성하는 도구, 때로는 마케팅 수단이기도 했다. 그러나 정치적 이슈나 일부 단체의 조작 논란이 지속되며 실검은 점차 ‘불신의 상징’이 되었고, 결국 양대 포털은 이를 종료하게 된다.

하지만 이 공백은 단순히 서비스를 없앴다는 수준에 그치지 않았다. 대중은 실검을 통해 현재의 트렌드를 확인하고, 이슈를 따라가며 사회적 흐름을 읽는 데 익숙해져 있었기 때문이다.

실검 이후, 대체 서비스는 어디일까?

실검이 사라지고 나서, 많은 이들이 ‘트렌드를 대신 보여줄 수 있는 서비스’를 찾아 나섰다. 다음은 그 대안으로 떠오른 대표적인 채널들이다.

1. SNS 실시간 트렌드 (트위터/X, 인스타그램, 블루스카이 등)

특히 X(구 트위터)는 여전히 실시간성에 있어 독보적이다. ‘트렌드’ 탭을 통해 지금 한국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고, 정치·연예·스포츠 등 분야별로 나눠 실시간 흐름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2. 유튜브 인기 동영상

영상 콘텐츠가 주류가 된 지금,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목록은 사실상 실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조회 수는 물론이고 댓글 반응, 업로드 시간 등을 통해 어떤 주제가 지금 주목받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3. 구글 트렌드

전 세계적인 이슈 흐름은 물론, 특정 국가(한국) 기준으로 최근 검색량이 급상승한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다. 전문 기자나 마케터, 블로거 등도 많이 활용하며, 특정 키워드의 추세를 시간별, 지역별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커뮤니티 핫 게시글 (디시인사이드, 루리웹, 더쿠 등)

실검이 사라진 이후 디시 갤러리나 루리웹 같은 커뮤니티는 ‘실시간 민심’을 읽는 새로운 창구가 되었다. 각 커뮤니티의 인기글은 일종의 ‘비공식 실검’ 역할을 하며, SNS보다도 더 날것의 반응을 보여준다.

5. AI 기반 뉴스 추천 알고리즘

카카오·네이버 뉴스 서비스는 실검을 없애는 대신 알고리즘 추천을 강화했다. 이제는 ‘많이 본 뉴스’, ‘AI 추천 뉴스’, ‘관심 키워드 기반 뉴스’ 등이 실검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실검 없는 시대, 문제는 없을까?

실검 폐지는 ‘조작의 여지’를 없애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반대로 문제점도 적지 않다.

  • 정보의 편향성: 대중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키워드가 사라지고,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정보만 소비되면서 개인화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
  • 이슈의 즉시성 부족: 실시간 이슈 파악이 어려워져, 대응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특히 언론사나 공공기관의 경우, 긴급 사안 전파에 불편함을 느낀다.
  • 사회적 공론장의 축소: 실검이 대중의 의견을 집단적으로 모으는 창구였다는 점에서, 그 부재는 온라인 공론장의 축소로 이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실검은 분명 문제도 많았지만, ‘대중의 눈’을 보여주는 독특한 창구였다. 실검이 사라진 지금, 우리는 각종 플랫폼을 넘나들며 흩어진 트렌드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방식으로 시대를 읽고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무엇이 뜨고 있는가’보다, 왜 그것이 뜨고 있으며, 어떤 파급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다.

이제 대중은 더 이상 실검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 X, 유튜브, 커뮤니티, 구글 트렌드 등 다양한 채널을 조합해 나만의 실검 레이더를 만든다. 이것은 단순한 대체재를 넘어서, 더 복합적이고 정교한 정보 탐색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