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CIETY

🧑‍💼 취업 안되는 청년들, 2025년 현실과 대책

by AtildeZ 2025. 7. 14.
반응형

취업 안되는 청년들 관련 이미지

수치로 본 현황, 원인 분석, 정부 지원까지 정리

2025년 현재, 대한민국 청년 취업률은 개선되지 않고 여전히 ‘고착화’ 상태입니다.
고학력자 증가, 채용 축소, 산업구조 변화 등이 겹치면서 취업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단지 구직자만의 탓이 아닙니다. 구조적인 문제와 고용 시장의 변화, 정책 공백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왜 청년들이 취업을 못 하는지’, 그리고 정부·지자체에서 현재 어떤 대책을 마련 중인지 명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1. 통계로 본 청년 취업의 현실

  • 청년층(15~29세) 실업률: 2025년 5월 기준 약 7.8%
  • 체감 실업률(확장 실업률): 약 22.4%
  • 주요 문제:
    • 장기 취준생 비율 증가
    •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원 비중 확대
    • 자격증 과잉 준비 → 실무경험 부족

📊 대학 졸업 후 6개월 이내 취업률도 60% 미만으로 하락 중입니다.

✅ 2. 왜 청년들이 취업을 못할까? 주요 원인

  1. 전공과 산업 수요의 미스매치
    이공계는 수요 많은 반면, 인문·사회계열은 채용 급감
  2. 공무원·대기업 쏠림 현상
    중소기업 기피, 선택적 구직 → 공백 장기화
  3. AI·자동화로 인한 고용 감소
    채용 자체 축소, 고졸·전문대 졸업자 타격 큼
  4. 자존감 저하와 구직 포기 증가
    ‘이력서조차 안 내는’ 포기 상태

✅ 3. 청년 구직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부 지원 제도

제도명 주요 내용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 월 70만 원 적립 시 최대 5천만 원 수령 가능 청년 정책포털 또는 은행
국민내일배움카드 교육비 최대 500만 원 지원 고용노동부 HRD-Net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중소기업 취업 시 기업에 1년간 최대 960만 원 지급 → 청년은 정규직 전환 기회 채용 기업 연계 신청
K-Digital Training 디지털 분야 무상 직업훈련 과정 훈련기관 직접 신청

💡 지역별 청년센터(서울청년포털 등)에서도 일대일 컨설팅 가능

✅ 4. 구직자가 당장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 대책

 

  • 📌 채용 축소 분야보다 ‘확장 중인 산업’으로 시야 넓히기
  • 📌 실무 프로젝트 경험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 📌 민간 취업 플랫폼(로켓펀치, 원티드 등) 활용해 기업 탐색
  • 📌 직무 기반의 온라인 교육 병행 (패스트캠퍼스, 멀티캠퍼스 등)
  • 📌 정부 기관이 연계하는 현장형 인턴십 활용

✅ 5. 청년이 잘못한 게 아닙니다

사회 구조가 급격하게 변하면서, 더 이상 단순히 ‘열심히 준비하면 된다’는 말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일자리는 줄고, 기준은 올라간 현재 상황에서 청년은 그저 더 지쳐가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이 해야 할 일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정책을 아는 것만으로도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내가 쓸 수 있는 제도가 있다면 반드시 챙기고,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말고 지역 청년센터나 일자리카페 등의 도움도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